전공과목 이수 표준형태
학년 |
1학기 |
2학기 |
---|
1 |
|
700.252* 일반물리학 및 실험 2 |
2 |
717.204A* 물리실험 및 시범 1
717.224A* 역학 및 교육 1
717.229* 전산물리 및 교육
717.220A 전자물리 및 교육 |
717.226A* 전자기 및 교육 1
717.228* 물리실험 및 시범 2
717.223A 물리수학 및 교육 1
717.225A 역학 및 교육 2 |
|
|
|
3 |
717.323A* 현대물리 및 교육
717.329* 물리교육론
717.332* 파동 및 광학교육
717.322A 전자기 및 교육 2
717.325A 물리수학 및 교육 2
|
717.319A* 양자물리 및 교육 1
717.327A* 물리교육실험
700.401A 과학논리 및 논술
717.326 음향학탐구 및 교육
717.414 물리교재 연구 및 지도법
|
|
|
|
|
|
4 |
T2184.001200 학교현장실습
717.428A* 열통계물리 및 교육
717.418A 양자물리 및 교육 2
M1870.000100 물리교수법 |
717.430 물리학 개념의 역사적 발달 |
|
|
|
* 표시는 전공 필수
- [물리교재연구및지도법] 개설학기 변경

- [과학논리 및 논술]과 [음향학 탐구 및 교육]은 2020년 2학기 물리교육과 미개설
- [과학논리 및 논술]은 과학교육계, 화학교육과, 생물교육과, 지구과학교육과 개설 과목을 수강하시기 바랍니다.
교과과정 변경 내역
1. 2013학번 전공과목 교과과정 변경에 따른 경과규정
가. 변경 사항
과목 |
변동내역 |
적용학기 |
---|
전자물리 및 교육 |
전필 --> 전선 |
2013년 1학기 |
일반물리학 및 실험2 |
일선 --> 전필 |
2013년 2학기 |
물리실험 및 시범1 |
1학점 --> 2학점 |
2014년 1학기 |
물리실험 및 시범3 |
폐지 |
2014년 1학기 |
나. 경과 규정
2012이전 학번은 [물리실험 및 시범3] 폐지로 전필 2학점이 부족.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일반물리학 및 실험2”을 일선에서 전필로 교과구분 정정을 한다. 또한 2013년 1학기 이후 “전자물리 및 교육”을 전선으로 수강한 2012이전 학번은 전필로 교과구분 정정을 한다.
2. 교과목명 변경
변경전 |
변경후 |
적용학기 |
---|
물리교과교육론(717.329A) |
물리교육론(717.329) |
2018년 1학기 |
물리교과교재 및 연구법(717.336A) |
물리교재 연구 및 지도법(717.414) |
2018년 1학기 |
물리교과 수업실습 및 분석(717.431A) |
물리교수법(M1870.000100) |
2018년 1학기 |
물리교과 개념의 역사적 발달(717.430A) |
물리학 개념의 역사적 발달(717.430) |
2020년 2학기 |
3. 교과교육영역 변경
가. 변경사항
물리교과 개념의 역사적 발달(717.430A) : 교과교육영영에서 제외(2017년 2학기부터)
나. 경과규정 : 2017년 2학기 이후 수강은 전선으로 인정은 되지만 교과교육 영역은 불인정
다. 근거 : 교육부 고시 제 2016-106호(2016.12.23.) 제12조 ①항
4. 타과전공 전선인정
가. 인정범위 : 자연과학대학과 공과대학의 물리 관련 학과, 수학과, 사범대학 수학교육과, 화학교육과, 생물교육과, 지구과학교육과에서 제공하는 교과목 중에서 학과장이 인정하는 과목
나. 인정학점 : 제한 없음
다. 신청절차
1) 수강 신청 전 : 전선인정 받을 교과목에 대한 “타과전공 전선인정 신청서”(홈페이지 자료실)를 작성하여 지도교수 승인을 받아 학과사무실에 제출
2) 학점이 나온 후 : 포털에서 교과구분정정 신청을 하고 신청서를 출력하여 학과사무실에 제출
* 포털에서 교과구분정정 신청은 성적이 나온 후에만 할 수 있음.
라. 주의사항
1) 승인 없이 수강한 경우에는 물리교육과 전공선택으로 인정받지 못할 수 있음.
2) 사범대 복수전공 전공과목(복수 교직이수시)은 이중으로 전선인정 불가(교원자격취득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