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사졸업을 위해서는 6학기 이상 등록하고, 학점은 다음의 교과구분별 최저학점을 포함하여 130학점 이상 이수하여야 한다. 교과구분별 학점은 교양과목 37학점 이상, 전공과목 60학점 이상, 교직과목 22학점 이상으로 한다. 단, 다른 전공병행(복수전공, 부전공, 연합전공, 연계전공, 학생설계전공) 이수시 전공학점은 52학점(전필 34학점, 전선 18학점) 이상으로 한다.
2018 1학기 개설된 이전 핵심교양 영역별 교과목 목록.xlsx

교양 이수규정
교양은 필수과목을 포함하여 37학점 이상 이수하여야 한다.
구분 | 학점 | 비고 (필수과목 및 이수규정) |
|
---|---|---|---|
학문의 기초 | 24(26) | * [1-1] 수학 및 연습1(3) 또는 고급수학 및 연습1(3) * [1-2] 대학국어(3) * [1-2] [2-1] 텝스 성적에 따라 대학영어 1․2, 고급영어 중 2 또는 4학점 이수 * [1-1․2] 기타과목 중 4과목 및 해당실험과목이 있을 경우 동시수강 |
|
핵심교양 | 문학과 예술 | 3 | |
역사와 철학 | 3 | ||
사회와 이념 | 3 | ||
선 택 | 4(2) | 체육계열과목에서 2학점 이상 필수 이수 | |
교양학점계 | 37 |
※ 기타과목 : 수학 및 연습2(또는 고급수학 및 연습2), 물리학1(또는 고급물리학 1), 화학1, 생물학1, 지구과학, 컴퓨터의 개념 및 실습 중에서 학기별 이수 기준학점 이상 취득
※ 물리학1(또는 고급물리학 1), 화학1, 생물학1, 지구과학을 수강하는 학생은 해당학기에 물리학실험1, 화학실험1, 생물학실험1, 지구과학실험을 동시에 수강하여야 함.
※ 고교과정에서 물리 1,2(또는 화학 1,2)를 모두 이수하지 않은 학생은 ‘물리학 1’(또는 화학 1)대신 물리의 기본1(화학의 기본 1)를 이수해도 됨. 단, 물리학실험 1(화학실험 1) 중 해당실험과목을 동시에 수강하여야 함.
※ 경과조치
- 1999학년도 이전 입학자는 종전의 이수규정에 따른다.
- 2000, 2001학년도 입학자는 종전의 이수규정을 따르되, 물리․화학․생물․지구과학교육과의 기존 7영역의 필수 이수과목은 2002학년도 입학자의 “학문의 기초”과목 이수규정에 따른다.
전공 이수규정
전공은 전공필수 교과목 34학점 포함하여 60학점 이상 이수하여야 한다.
구분 | 교과목 번호 | 교과목명 | 학점 | 비고 | ||||
---|---|---|---|---|---|---|---|---|
전공 필수 (34) |
700.252 717.204A 717.228 |
일반물리학 및 실험2 물리실험 및 시범1 물리실험 및 시범2 |
4 2 2 |
|||||
717.224A 717.319A 717.226A 717.229 717.323A 717.332 717.428A 717.327A |
역학 및 교육1 양자물리 및 교육1 전자기 및 교육1 전산물리 및 교육 현대물리 및 교육 파동 및 광학교육 열통계물리 및 교육 물리교육실험 |
3 3 3 3 3 3 3 2 |
교직 기본이수 | |||||
717.329A | 물리교과교육론 | 3 | 교직 기본이수, 교과교육 | |||||
전공 선택 |
717.220A 717.223A 717.325A 717.225A 717.322A 717.418A 717.326 |
전자물리 및 교육 물리수학 및 교육1 물리수학 및 교육2 역학 및 교육2 전자기 및 교육2 양자물리 및 교육2 음향학탐구 및 교육 |
3 3 3 3 3 3 3 |
|||||
717.336A 717.431A 700.401A 717.430A |
물리교과교재 및 연구법 물리교과 수업실습 및 분석 과학논리 및 논술 물리교과 개념의 역사적 발달 |
3 3 2 3 |
교과교육 |
※ 교과교육 영역은 “물리교과교육론”과 "과학논리 및 논술"을 포함하여 3과목 8학점 이상 이수하여야 한다.
※ “물리교과 개념의 역사적 발달”은 2017년 2학기 이후 수강은 전선으로인정은 되지만 교과교육 불인정.
교직 이수규정
교직이론 12학점 이상, 교직소양 6학점 이상, 교육실습 4학점 이상 이수하여야 한다.
구분 | 교과목 번호 | 교과목명 | 학점 | 비고 | ||||
---|---|---|---|---|---|---|---|---|
교직이론 (12학점) | 701.101A T1831.000300 700.002 700.003 700.004 700.006 700.007 700.022 700.023 |
교육학개론 생활지도 및 상담 교육심리 교육철학 및 교육사 교육사회 교육행정 및 교육경영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 교육과정 교육평가 |
2 2 2 2 2 2 2 2 2 |
"교육학개론” 필수 |
||||
교직소양 (6학점) |
700.020A 700.021 T1831.000100 |
특수교육학개론 교직실무 학교폭력예방의 이론과 실제 |
2 2 2 |
|||||
교육실습 (4학점) |
700.018 700.019A 700.024 |
근무교육실습 교육봉사 1 교육봉사 2 |
2 1 1 |
※ 밑줄은 과학교육계에서 개설하는 교직을 이수하여야 한다. 단, 특별한 경우 학과장의 승인하에 과학교육계가 아닌 개설 과목을 수강할 수 있다.
기타 졸업요건
가. 외국어진행강좌 수강의무 : 전공 3학점 포함 9학점 이상 영어진행강좌 수강
나. 교직 적성 및 인성 검사 : 2회 이상 적격 판정
다. 응급처치 및 심폐소생술 실습 : 2회 이상 이수
라. 졸업 논문 심사 통과 및 제출
마. 교직 평점 2.4이상, 전공평점 2.0이상, 전체평점 2.0이상
바. 성인지 교육 : 2회 이상 이수(22년 8월 졸업예정자부터)(21년 8월, 22년 2월 졸업예정자는 해당사항 없음)
※ 교직 적인성과 심폐소생술은 1년에 한번만 이수가능, 연속학기 이수 불가.
예) 2021년 2학기, 2022년 1학기 연속학기 이수 불가.
※ 성인지 교육은 학년도별 1회만 인정(동일 학년도에 2회 이수 불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