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학안내
교과과정
2018년 1학기 기준
교과목 명 | 교과목 번호 | 개설학과 |
---|---|---|
고체물리학 특강 | 717.506 | 물리교육 |
대학원논문연구 | 717.803 | 물리교육 |
물리교육세미나 | 717.522A | 물리교육 |
물리교육특강 | 717.604A | 물리교육 |
물리교육평가 | 717.626 | 물리교육 |
물리학습지도 | 717.603 | 물리교육 |
상대성이론 | 717.615 | 물리교육 |
생활 속의 물리 | 717.650A | 물리교육 |
양자역학교육 | 717.521A | 물리교육 |
음향물리교육 | 717.525A | 물리교육 |
이론물리세미나1 | 717.701 | 물리교육 |
이론물리세미나2 | 717.702 | 물리교육 |
현대물리교육론 | 717.624 | 물리교육 |
빅데이터 분석과 교육 | M1868.000200 | 과학교육공통 |
과학 수학 컴퓨터융합교육 | 716.903 | 과학교육공통 |
과학교사전문성발달과 현장연구 | 716.904 | 과학교육공통 |
과학교육 질적연구법 및 연구윤리 | M1869.000100 | 과학교육공통 |
과학교육 기초론 | 716.601 | 과학교육공통 |
과학교육세미나1 | 716.633 | 과학교육공통 |
과학교육세미나2 | 716.634 | 과학교육공통 |
과학교육양적연구법 | 716.620 | 과학교육공통 |
과학교육언어론 | 716.915 | 과학교육공통 |
과학교육역사 | 716.635 | 과학교육공통 |
과학교육의 사회문화적접근 | 716.638 | 과학교육공통 |
과학교육질적연구법 | 716.616 | 과학교육공통 |
과학교육철학 | M1868.000100 | 과학교육공통 |
과학교육포럼2 | 716.908 | 과학교육공통 |
과학박물관과 비형식 과학교육론 | 716.640 | 과학교육공통 |
과학수업에서의 상호작용 | 716.913 | 과학교육공통 |
과학영재교수/학습및평가 | 716.813 | 과학교육공통 |
과학영재교육론 | 716.811 | 과학교육공통 |
과학영재교육연구 | 716.910 | 과학교육공통 |
창의력과 과학영재교육 | 716.812 | 과학교육공통 |
초중등 과학학습을 위한 아동용 도서의 통합적 활용 | 716.914 | 과학교육공통 |
대학원 학생들에게 세미나 형식의 토론식 수업을 경험하게 하는 것이 목적으로, 각자가 물리학에 관한 관심 있는 주제를 하나 이상 선택하여 연구한 후 발표하고 토론하는 방식으로 수업을 진행한다. 물리학세미나에서는 물리학자 모두를 대상으로 쓴 비교적 쉽게 풀이한 학술지에서 주제를 선택하도록 한다.
Students will select more than one research topics and report their progress in the form of seminar. Students are expected to select their topics from the journals for general readers in physics.
국내⋅외의 물리교육 관련 연구물 및 최신 쟁점들을 집중적으로 토의하는 과정을 통해서 현대의 물리교육사조와 물리교육과정 및 물리학습이론의 특성 등을 이해, 분석, 평가하도록 한다.
Through discussions on recent research results and issues in domestic and oversea, students will compare, evaluate, and understand historical trends, curriculum, and learning theories of physics
물리개념, 탐구사고력, 실험활동, 정의적 영역 등에 대하여, 국가수준, 학교 수준, 교실 수준에서의 평가방법 및 도구의 개발을 통하여 평가 이론을 실제적으로 응용한다. 또한 물리학습평가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높이는 평가방법 등에 대해 논의한다
Students will apply their understandings in theories of assessments through development of assessment methods and tools in physical concepts, inquiry, and affective domain at nation wide, school and classroom level. Also how to improv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assessment tools in physics will be discussed.
물리학습이론의 변천사를 통해서 현대 물리학습이론의 특성을 이해하고, 역학, 전자기, 광학, 현대물리, 열물리 등 각 물리 내용 영역에 대한 적절한 학습지도 방법을 강구하도록 한다.
This course discuss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current theories on learning physics. It covers effective teaching methods in such areas as mechanics, electromagnetism, optics, as well as modern and thermal physics.
과학을 실생활과 연결시키는 것은 과학 대중화를 위한 중등 과학교육의 중요한 임무 중의 하나다. 이 과목에서는 일상생활에서 흔히 사용하는 가전제품, 사무용품, 의료 기기, 운송수단, 센서와 같은 도구의 과학적 원리를 깊이 있게 조사하고 정리하여 중등 과학교육에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도구의 제작과 사용에 동원된 과학적 원리를 자세하고 광범위하게 수집하고 분석하여 자료집을 만들어 중등 과학교육에 응용될 수 있도록 한다.
Connecting science to everyday tools and appliances is one of the important missions of the secondary school science teaching. In this subject, we will investigate in depth the scientific principles involved in manufacturing electronic appliances, office tools, medical equipments, transportation tools, and sensors and analyze the results for use in thesecondary school science teaching.
학부의 양자론을 보다 높은 차원에서 이해하는 과목으로 힐버트 공간에서의 연산자를 통한 양자역학이론을 배우고, 섭동이론, 양자 다체계, 산란 이론 등에 다양한 방법으로 접근한다. 또한 효과적인 양자역학의 교수-학습 및 평가 방안을 고찰하고 중등학생 및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하는 실험 및 시범 장치를 고안한다.
On top of undergraduate courses, this course explore more advanced aspects of quantum mechanics and effective teaching & learning methods and design of experiments and demonstration for secondary students and pre-service teacher. This course will cover the following topics operators in Hilbert space, perturbation theory, many-body problems, scattering theories, and their applications.
소리 관련 자연 현상과 문화현상을 심도 있게 분석하고 감상할 수 있도록 음향 파동 이론과 응용을 다루며, 실험적 소리와 진동의 분석 방법을 습득한다. 즉, 줄/막대/판의 진동, 음향 파동방정식, 소리의 투과와 흡수 및 방사에 대한 이론과 함께 소리 분석의 방법으로 FFT 분석, 진동양식분석, 소리의 측정, 심리음향학 등을 다룬다. 또한 초⋅중⋅고 학생들의 소리 관련 개념 학습과 실제 활동을 심도 있게 분석하고 교육적 응용으로 초⋅중⋅고 학생들 위한 음향학 관련 시범 실험과 실제 활동을 고안하고 실시할 수 있도록 한다.
Theories and applications of sound and vibration are provided to analyze and appreciate sound as a natural and cultural phenomenon For example, vibrating strings, bars and plates, acoustic wave equation, transmission and absorption of sound, radiation as well as analysis methods like as FFT analysis, experimental modal testing, audio tests and measurements, and psychoacoustics. In addition, students’ concepts and activities in sound are analyzed and demonstration and new activities are designed and developed.
현대 이론물리학의 발전과정, 현재의 관심사 및 앞으로의 전망 등을 학생들의 논문연구를 발표하는 형식응로 진행한다. 각 수강생들이 최근 관심이 되고 있는 주제를 선택하여 연구 발표하며 담당교수와 함께 토론한다. 주로 입자물리학, 물성물리학, 통계물리학 및 우주론 등의 기초 이론을 연구한다.
Students present paper research about development process of modern theorical physics, a matter of concern and interest and the future prospect. Student research a matter of concern and interest and discuss with professor about it. For example, the principal subject is material physics, statistical physics and cosmology .
본 강좌에서는 1900년 이후에 등장한 현대물리학의 제문제를 다룬다. 특수상대성이론과 일반상대성이론, 그리고 양자론의 기초 개념들을 개괄함으로써 현대물리학의 여러 개념들을 학생들에게 어떻게 가르치는 것이 효과적인지에 관하여 논의한다. 일차적으로는 현대물리학 이론 자체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목표로 하되, 교육실천 현장에서 교사가 실제로 직면하는 어려움들을 서로 나누고 내용 지식에 대한 실천적 논의를 하는 과정 속에서 현대물리 교육에 관한 더 나은 방향을 모색하는 것이 본 강좌의 주된 목표이다.
This course deals with various topics in modern physics appeared after 1900. During the course, we discuss how to teach concepts in modern physics effectively by summarizing the basic notions in special relativity, general relativity and quantum theory. First goal of the course is the accurate understanding of the theories themselves. And we pursue the principal goal which is to seek the improved ways in teaching modern physics by sharing teachers’ difficulties in educational practices and discussing on the specific contents knowledge.
과학교육 공통
온라인 교육 활동이 활발해지면서 교육 분야의 데이터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온라인 교육이 쏟아내는 빅 데이터의 추출과 분석은 오프라인 데이터의 분석과 함께 과학교육의 현황을 파악하고 미래를 위한 과학교육의 방향을 결정하는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 과목에서는 학생들이 빅 데이터 분석의 원리와 방법을 이해하고, 학습 결과를 온라인과 오프라인 과학교육과 사회현상의 분석에 응용하는 능력을 기르는 것을 목표로 하며, 데이터 마이닝을 위한 확률 개념을 바탕으로 수집된 데이터에서 최대의 정보를 추출하는 방법을 학습한다. 특히, 대표적 분류 모형인 퍼셉트론, 합성곱 신경망, 순환 신경망, 생성 모형으로 오토 인코더, 적대적 생성 신경망, 볼츠만 머신, 딥 빌리프 네트워크 등을 깊이 다룰 예정이다. 학생들은 이 주제들에서 학습한 내용을 교육 데이터 마이닝의 실습, 무크와 같은 대규모 학습의 분석에 응용하는 연습을 한다. 이 과목은 교육 통계와 좋은 보완이 될 수 있다. 그러나 강의를 이해하는데 필요한 통계 수학과 컴퓨터 프로그램 지식을 선행 지식으로 요구하지는 않는다.
Educational data have been exploding with the rapid increase of on-line education. The mining and analysis of the on-line education, together with the analysis of the off-line educational data, can provide useful information on both the status of the current science education and also the direction of the future science education. Through the course students will learn to understand underlying principles of machine learning, theory of big data and the method of big data mining, and will apply the results of learning to analyzing off-line and on-line science education and social phenomena. Students will also study how to design models for maximally extracting features from data based on the concept of probability. In particular, the lecture covers both discriminative and generative models of multi-layer perceptrons, convolution neural networks, recurrent neural networks, auto-encoders, 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s, Boltzmann machines, and deep belief networks. Students will practise these topics in analyzing large scale learning such as MOOC and to mine educational big data. This course is a good companion of the educational statistics, but does not require knowledges on statistics or computer programing skill as prerequisites since basic mathematics and computer programming will be covered in the class.
과학 교수에서 user friendly한 Excel의 수학적 기능을 익힘으로 자연 현상에 대한 수학적 표현을 익힌다. 이 과목은 수학과 과학 그리고 컴퓨터를 융합하는 수, 과학, 컴퓨터 교육을 다룬다. 따라서 수학, 과학교육을 위한 컴퓨터 animation을 제작할 수 있다.
We learn mathematical functions and handling (including animation) in Excel software which is very user-friendly to deal with mathematical expressions relating to nature in science teaching. This class should be one of fusion educations dealing with science, mathematics and computer technology.
이 강의의 목적은 평생교육의 일환으로 과학교사들이 현장연구의 실행을 통하여 전문적 발달에 중점을 둔다. 과학교사의 전문성 발달은 학생의 과학학습 향상과 밀접하게 관련되어야 하므로 이 강의의 목적은 현장 연구의 방법론과 실행 및 이에 대한 인식과 학습에 대한 구체적인 검토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다. 한국의 학교와 과학교사들이 활용할 수 있는 좋은 사례로서 수업연구에 대한 상세한 탐색을 통하여 제공될 것이다. 이 강의는 한국의 국가적 상황에 적용될 국제적 관점을 제시할 것이다. 상호작용적 세미나와 토의를 통해서 학교 과학교육의 발전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방안이 모색될 것이다.
This course focuses on science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through action research into their own practice, as a means to life-long learning.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should relate closely to the enhancement of student learning and, therefore, the aim of this course is to provide a detailed examination of the methodology and practice of action research and a study of perception and learning. These are brought together in a detailed exploration of Learning Study, as one practical example of action research that can be used by science teachers in Korean schools. The course draws on international perspectives that can be applied in the local context of Korea. The course sessions take the form of interactive seminars with discussion in both English and Korean, to be enjoyed by all who are concerned with science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the enhancement of student learning, as a means to improving science education in schools.
과학 교실에서 교사와 학생, 학생과 학생 사이의 의사소통에서 중요한 매개 요인인 언어의 특성과 기능을 말하기, 쓰기, 담화 등의 측면에서 다룬다. 주요내용으로는 과학 언어의 문법, 과학 수업과 담화 구조 분석, 언어적 상호작용 유형 분석 등이다. 또한 21세기를 살아가는 학생들이 기본적으로 갖추어야 할 과학적 소양을 환경적 소양(environmental literacy)의 관점에서 접근한다. 주요 내용으로는 과학교육의 목표, 내용, 교수학습방법, 평가 등의 이해와 환경적 소양에 대한 다양한 접근 사례와 지향 방향, 내용, 함양 방안 등이다. 한국적 상황에서 바람직한 과학적 소양의 목적과 내용 구성 및 실천 방안 등을 모색한다.
Important media for interpersonal communication in science classroom, language, is dealt with in terms of talking, writing, and discourse. Major topics are scientific grammar, discourse analysis in science classroom, verbal interaction and so forth. In addition, science literacy for students of twenty-first century is dealt with through the introduction of environmental literacy. Major topics of study are understanding the goals, content, teaching methods of science education. Environmental literacy is approached by various cases, aims, content, and ways of fostering it. Ideal goals and content of science literacy in Korean context will be explored.
19세기 이후 근대 과학교육의 태동과 정착 및 변화 과정을 역사적 맥락을 따라 탐색한다. 19세기 초반의 초창기 학교 과학교육, 19세기 후반의 과학 교육과정 및 실험실습 교육의 도입, 20세기 전반의 시민과학 운동과 생활중심 과학교육, 20세기 중반의 탐구중심 과학교육, 20세기 후반의 STS 및 구성주의 과학교육, 20세기 말의 과학적 소양과 비형식 과학교육 등 과학교육의 주요한 역사적 변천과정을 그 이상과 목표의 측면에서 개관한다.
This course will explore the beginning and historical change of modern science education since the 19th century. The historical change of science education will be discussed in terms of its ideal and goals around the following issues: early science teaching, school science curriculum and introduction of science practical work during the 19th century; science citizenship & everyday science movement, scientific inquiry, STS & constructivist movements, scientific literacy, informal science education etc. during the 20th century.
이 강의의 목적은 사회문화적 접근을 기반으로 한 기존의 과학교육 연구를 이해하고, 사회문화적 접근에 기반한 연구 역량을 기르는데 있다. 이를 위해서 Vygotsky를 비롯하여 Leo’tev, Luria등의 업적을 이해하고, 최근 발달한 activity theory를 Engestrom, Wertsch 등을 중심으로 다룬다. 또한 과학교육에 사회문화적 접근을 도입한 대표적인 연구 성과와 최근의 새로운 동향을 이해하도록 한다. 사회문화적 접근을 토대로 과학 수업과 과학교사의 실행, 과학 교육 정책 등을 이해하는 연구 계획을 수립하고 이를 소규모로 적용한다.
The purpose of this course is understanding studies based on socio-cultural approach, and bring up competencies to conduct research. Accomplishments of this tradition from early scholars such as Vygotsky, Leon’tev, and Luria, and later
scholars such as Engestrom, Wetsch and others would be introduced. Major studies in science education based on sociocultural approach would also be dealt with, and contemporary trends would be summarized. Research plans about science teaching, science teachers practice, science education policy based on this approach would be recommended to be developed and pilot tested in this course.
후기 실증주의 교육연구에 대한 이 과목에서는 질적 연구법의 철학적 배경 , 연구 설계 및 과학교육에서 질적 방법을 사용하는 연구자들이 직면하고 있는 이슈들에 초점을 맞춘다. 본 과목에서 는 과학교육이라는 상황속에서의 질적 연구방법에 대한 역사, 이론, 기본 가정들, 연구 설계 및 연구방법들을 제공한다. 본 과목을 통하여 학생들은 사회적 현상 및 교육현장을 기술함에 있어서 사용할 수 있는 질적이고 민족지학적인(ethnographic) 연구방법들의 이론적 배경을 이해하게 함을 그 목표로 한다. 질적 연구법이 기초하고 있는 가정들을 이해하고, 다양한 연구 패러다임들의 유용성과 특징을 점검하고, 이러한 이론적 가정들의 시간적 변천을 이해한다.
This course will focus on the philosophical background of qualitative research and issues in qualitative research on science education. It will provide an introduction to the history, theory, assumptions, design, and methods of qualitative inquiry in educational settings. The course seeks to ground students in the founding principles of qualitative and ethnographic research as they have been used to describe social phenomena. The central focus of the course will be on how these assumptions have changed over time. Therefore, the primary objective will be to discuss paradigms and their usefulness in understanding the assumptions of all inquiry.
본 강좌에서는 근대 이후 학교 과학교육의 발전과정에서 다양한 영향을 미쳤던 과학철학과 교육철학의 입장들의 변천과정을 살펴봄으로써, 과학교육의 이념적 토대, 과학교육의 목표 등에 대한 철학적 해석과 비판을 수행한다. 관련 고전 및 관련 최신 연구논문 등을 비판적으로 통독하면서 과학교육철학의 쟁점들에 대해 공부한다.
In this course, by reviewing changes in the views on the philosophy of science and the philosophy of education, which have directly and indirectly influenced school science education, students will attempt philosophical interpretations and critical analyses of the ideological foundations, aims, and objectives of science education. through this course, students will study the issues of the philosophy of science education by critically reading relevant classics and recent researches.
이 강의의 목적은 첨단 과학, 과학교육, 심리학, 교육학 등 다양한 학문 분야에서 최근에 이루어진 성과들 사이의 창의적인 융합에 대한 토론을 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국제적인 수준의 연구역량을 갖추도록 한다.
In this course, discussions on creative convergences between recent outcomes from cutting edge science, science education, psychology, education and etc. are expected. Graduate students are expected to improve their research abilities to the world class level.
과학관, 과학박물관, 자연사박물관 등과 같이 과학 대중화를 위한 설계된 시설에서 일어나는 과학교육의 영역과 내용, 방법, 연구개발에 대한 이해를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서 과학관의 발달 역사, 과학관 교육의 목표 영역, 과학관의 전시의 특성 이해, 교육과 관련성, 과학관 교육 프로그램의 특성, 유형, 과학관 관람객의 대화적 탐구의 특성, 과학관 도슨트의 담화 특성, 과학관의 전시 및 교육 프로그램의 연구 개발 등을 다룬다. 또한 학교 과학교육과 과학관 교육의 효율적인 연계 방안을 토의한다.
Understanding the science education domains, content, method, and research and development at facilities or institutions such as science center, science museum, natural history museum for public understanding of science is the major goal of this course. The developmental history, the domains of educational goals for science museums, exhibition characteristics, dialogic inquiry among visitors, discourse characteristics of docents, research and development of exhibition and educational programs is going to be dealt with. Effective ways to connect school science and science museums would be also included.
본 과목은 교사와 학생이 함께 구성하는 실제 과학 교실에 대한 개념을 소개한다. 본 과목에서는 과학 수업에서 나타나는 언어를 다루며, 과학수업 관련 교실에서 일어나는 사건들을 교사, 학생, 환경 조건으로 구분하고, 개별 대상들의 행위가 어떻게 다른 대상들의 반응을 유도하는지 분석한다.
This course introduces the concept that teacher and students jointly constitute the reality of the classroom. The course includes the language of classroom systems and classroom culture; focuses on the decomposition of classroom events into teacher actions, student actions, and conditions; and analyzes how each person’s actions cause another person’s reaction. The course readings, lectures, and interactive activities will focus on supporting students to a) become familiar with different types of interactions and patterns of interaction in the classroom; b) examine factors that influence these interactions; c) explore research on approaches to science teaching (including direct instruction, inquiry teaching, and use of small groups) and develop a repertoire of teaching moves (e.g., questioning strategies) that promote positive learning interactions; and d) examine equity and diversity issues in classroom science teaching and identify research-based methods for insuring that all students have an opportunity to learn science.
영재교육에서의 다양한 교육과정 모형들(예: Renzulli의 삼부심 화학습모형, Betts의 자기주도학습모형, Kaplan의 변별적 학습모형, Clark의 통합적 교육모형 등)이 심도 있게 다루어진다. 속진 및 심화교수법, 사사제, 외국의 여러 영재교육과정 모형과 실시방법 등을 구체적인 예와 함께 학습한다. 영재교육 모형과 과학 과목간의 연계성 및 적용가능성, 각각의 과학교육을 위한 새로운 영재교육과정 모형의 개발과 평가 등이 다루어진다.
Various program models for the gifted such as Renzulli’s enrichment triad model, Kaplan’s differentiated curriculum for the gifted, Betts’s autonomous learner model, and Clark’s integrative educational will be investigated in this course. Also, acceleration and enrichment, mentorship, gifted programs in other countries, relationships between gifted program models and courses in science education will be discussed in depth.
영재교육학의 입문과정으로 영재의 개념과 영재교육에 관한 일반적인 정의 이론적⋅역사적 배경을 논의한다. 구체적으로 영재의 개념에 관한 다양한 정의, 영재교육의 역사 및 이론적 배경, 영재들의 일반적인 특성, 영재판별을 위한 여러 가지 방법과 최근 동향, 영재교육의 필요성과 정당성, 일반적인 영재교육과정 이론과 모형 등의 내용이 다루어진다. 또한 영재교육과 과학교육과의 연계성, 과학영재들의 특성 및 판별법, 과학영재교육의 정당성 등이 심도 깊게 다뤄진다.
In this introductory course on gifted education, general education will be discussed. Topics will cover the theoretical and historical background of gifted children and youth, various identification processes, differentiated curricula for the gifted, different kinds of gifted program models, relationship between gifted education and science education, characteristics and identification of scientifically gifted students, and needs of science-gifted education.
과학영재교육에서의 연구동향을 파악하고, 다양한 논문을 경험함으로써 독립적인 연구를 진행할 수 있는 기초능력을 기른다. 과학영재교육에 관련된 주요 연구 영역을 정하고, 문제를 발견하며, 연구에 대한 일반적 흐름을 이해하고 계획할 수 있도록 한다.
Through investigating the trends of recent research in Science gifted education and experiencing various research, students can grow a basic skills to independent research. Students define the domain of main research interests related science education, they can find the problems and understand general flow of research and finally plan it.
창의성의 개발은 최근 과목교육의 가장 중점이 되는 목표이다. 창의성의 정의, 영재성과 창의성과의 관계, 다양한 창의성 판별 방법, 창의성에 관한 이론적 배경 분석, 최근 창의성 연구의 동향, 다양한 창의성 및 상위 사고 능력 개발 전략들이 논의되어 진다. 이와 함께, 과학교육에서의 창의성의 역할과 위상, 과학교육에서의 창의성 개발 전략 등이 집중적으로 다루어진다.
“Creativity” is the most frequently emphasized purpose of education these days. This course will cover the definition of creativity, relationship between giftedness and creativity, various methods of assessing creativity, theoretical background of creativity, current trends in research on creativity, development strategies for creativity and higher level thinking skills in science-gifted education, and role of creativity in science gifted education.
본 과목은 수강생들에게 초등 및 중등 과정의 과학 내용의 교수를 위한 아동용 그림책(픽션과 논픽션) 활용을 소개한다. 또한, 교육과정을 넘어선 통합적 내용을 개발하고 가르치는데 이용되는 아동용 도서의 효과적인 활용 방법을 검사하는 현행 연구들을 소개한다.
This course is designed to introduce students to the genre of children’s picture books (both fiction and non-fiction) for science content instruction in the elementary and middle grades. Students will learn to critically assess both the content and the quality of children’s literature to be able to select age and concept appropriate titles for different instructional purposes. This course also introduces students to current research examining effective methods for utilizing children’s literature to develop and teach integrated content across the curriculum. Students will be expected to explore a wide variety of picture books and will have the opportunity to develop a content specific project focusing on utilizing picture books to teach science in grades K-8. This course is recommended for pre- and in-service science teachers in primary and middle grade levels. The course reading, lecture, and interactive activities will focus on supporting students to a) identify outstanding children’s literature that can be used to promote science instruction; b) design age-appropriate activities that stimulate and extend children’s literary experiences; c) discuss effective instructional techniques that feature children’s literature in science teaching and learning; and d) develop a lesson/unit to integrate literature into science content area.